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공부가머니 온라인 수업 K 아카데미 독서법 SQ3R

by Leopard1 2020. 10. 14.
반응형

요즘은 영상을 건너뛰어서 보는 아이들이 많다. 영상을 건너뛰며 보는 이유는?

영재 교육 컨설턴트 손아름 재미가 없다. 지루해서 넘긴다. 아이들한테 넘겨보지 말라고 하는 이유는 끝까지 봐야 영상의 전체적인 이야기를 파악 가능하다.

앞부분만 보면 일부 내용을 전체로 착가한다.

그래서 지식의 완정성을 추구하기 어렵다.

손아름 영재 교육 컨설턴트 나중에 공부할 시점들이 돼서 책을 펼쳐놓고 읽어보면 내용이 한 번에 들어오지 않는다. 한 마디로 문해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초등학교 때까진 최대한 온라인을 자제하길 권장한다. 곡 봐야 한다면 승재에게 맞는 영상 추천 곤충이나 자연 다큐멘터리 칸 아카데미 Khan Academy

챌린 하는 느낌으로 수학 게임 같은 것들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캐나다 의학 전문지에 따르면 여가용 영상 시청은 2시간 이하로 제한하는게 좋다. 특히 8세~11세 더욱 주의

교육 컨설턴트 이병훈 전문가는 학습용 영상 활용은 괜찮다고 생각 좀 더 큰다면 이런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만 하지 말고 영상 제작을 직접 해보면 나중에 유용할 수 있다.

이제는 원격 수업이 일상이 된 시대 안전을 위해 영상 콘텐츠로 수업을 받아야 하는 상황 현재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 선도 학교까지 운영 이제는 교육할 때 불가피하게 된 영상 매체 하지만 학교에 가면 영상은 수업이라기보단 수업 자료일 뿐 학교 영상자료 시간 초등학교 1,2 학년은 5~10분

학교 영상 자료 시간 고학년은 10분~20분 영상을 학습의 도구로 사용한다면 이 방법이 좋다. 독서법 SQ3R

SQ3R 1. Survey 대충 훑어보기

SQ3R 2. Question 훑어본 내용에 질문하기

SQ3R 3. Read 다시 꼼꼼히 읽기

SQ3R 4. Recite 내용 되새기기

SQ3R 5. Review 읽은 내용 검토하기

독서법이지만 영상 시청할 떄도 적용 가능

자연 체허 ㅁ학습 장점 학령기 이전 아이들은 체험을 통해 상식과 이해를 확장할 수 있다.

돋보기나 루페를 활용하면 자세한 관찰이 가능해서 누능로 보는 것과는 또 다른 재미가 있다.

체험 학습 계획을 세우면 더욱 효과적 추가적인 현장 체험 학습 꿀팁

자연 학습 꿀팁 자연 관찰 모습을 동영상이나 사진으로 기록하라 더불러 블로그에 올려두면 더 좋을 듯

나중에 그 분야에 관심이 더 깊어지면 자신만의 자료가 될 것 인터넷에 검새해보면 시나 군에서 운영하는 생태 체험 학습이 많다.

국립생태원 생태교감형 가족캠프, 지구사랑탐사대

요즘은 창의력 교육이 많아진 최근 들어 창의력 교육이 강조된 이유는?

교육컨설턴트 이병훈 생각은 산업 분야에서 창의성 부분을 요구하는 거로 생가한다. 이제 공부만 잘하면 되는 시대는 끝났다. 인생을 좀 더 풍요롭게 하려면 학습과 이성, 균형적인 뇌 발달이 필요하다. 그런 사람이 더 멋지고 인생도 풍요롭게 살지 않을까 그래서 예체능 교육이 더 증가한 거라 생각

예를 들어서 제가 간단한 퀴즈를 내볼까요? 고무장갑으로 할 수 있는것들을 열거하면?

여러 사람이 힘을 모은 집단 지성을 통해 나온 다양한 대답들 보통 영재들에게 비슷한 질문을 하면 영재들은 1분 이내 약 15개 20개를 답변

지식을 아는 것보다 해내는 역량 능력이 필요한 시대 창의성 교육이 강조되는 이유

728x90